Deep Learning (1) 썸네일형 리스트형 [NLP] Naver Movie Review sentiment analysis 한국어 자연어 처리에 대한 기본개념을 공부하기 위해서 네이버 영화 리뷰를 통한 감성 분석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감성 분석의 기본 개념은 매우 단순합니다. 하나의 리뷰 텍스트가 입력값으로 주어지고, 해당 입력값에 대한 출력을 이진 분류(긍정이냐, 부정이냐)로 나누기만 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타이타닉 문제의 생존 여부를 판단하는 것과, 개-고양이 이미지를 분류하는 것과 똑같은 이진 분류 문제라고 볼 수 있는 것이죠. 자연어 처리에는 다양한 기법들이 있으며, 현재도 더 나은 언어 처리를 위한 모델이 활발히 연구 중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언어 모델들을 먼저 살펴보기보다는, 가장 기초적인 어휘의 빈도수만을 활용해 분류 모델을 만들어볼 것입니다. 이렇게 만든 모델의 성능을 한 번 확인해보고, 이 방법의 문.. 이전 1 다음